본문 바로가기

TV 정보

한국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을 것인가?

이미지 출처 : 한국테크노파크진흥회

지난 8일부터 3일 동안 개최된 ‘제16회 디스플레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총괄워크샵’을 통해, 국내 디스플레이 관련 다양한 신기술들이 앞다투어 성과를 보고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워크샵에서는 산·학·연 전문자 45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니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좋은 내용이 총 집합되어 있어 이번 포스팅에서 간단하게 소개해 볼까 합니다.

 

마이크로 OLED 패널(OLEDoS/올레도스)

 

이미지 출처 : LG 디스플레이

그동안 대기업에서만 생산하였던 마이크로 OLED 패널을 APS리서치에서 단독으로 제조에 성공하였습니다. (편의상 올레도스라 부르겠습니다) 올레도스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주요 기술 중 하나로 AR 산업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이 패널의 특징은 얼굴과 가까이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화소가 정밀해야 하며, 가벼워야 합니다. 때문에 대기업에서만 그동안 제조에 투자할 수 있었는데 이번에 APS리서치에서 성공을 한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 삼성 디스플레이

무엇보다도 이 결과 중 가장 대단하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은 독자적인 FMM(Fine Metal Mask) 기술로 제작된 다이렉트 패터닝 방식이라는 것입니다. OLED 패널은 서브픽셀 배치를 위해 FMM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 제품은 일본에서만 생산이 가능하여 지난 한일외교가 멈췄을 때 큰 타격을 입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APS리서치가 독자적인 방식으로 FMM 기술을 개발하게 되면서, 새로운 반향을 불러일으킨 것이죠.

이미지 출처 : 글로벌 이코노믹 / 올레도스 기술이 적용된 애플의 비전 프로

올해 APS리서치가 제작한 올레도스는 3천 200ppi급으로 지난 6월에 발표된 애플 ‘비전프로’에 답재된 소니 OLEDoS 패널과 대등한 해상도(3천 400ppi 추청)를 갖추고 있습니다. APS리서치는 내년에 이보다 25% 향상된 4천ppi급의 올레도스 패널 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면으로 진동하는 압전 스피커

 

 
 

이미지 출처 : LT메탈 / LG디스플레이

다음은 LT메탈이라는 곳에서 발표한 기술입니다. 사실 이 기술은 LG에서 지난 CES 2023에서 선보인 적 있습니다. 바로 종이처럼 얇은 면으로 된 압전 스피커입니다. 그런데 이 기술을 왜 LT메탈에서 소개를 할까요? 우선 간단하게 LT메탈이라는 곳에 대해 설명하자면 희성그룹 계열의 전기 전자 부품 제조 기업입니다. 모회사는 일본에 있는 타나카 키킨조쿠라는 곳이고, LG집안 3세 구본식, 구웅모 님(?)이 주주로 있습니다. 그래서 주로 LG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고, 제조하는 회사입니다.

 

이 기술은 지난번에도 소개해 드렸듯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기술 중 모빌리티 산업에 중점적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최종 목표는 친환경 무연(Pb Free) 소재로 구현된 압전소자의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기업답게 재활용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개발을 시작하는 것 같아 기대가 됩니다.

 

포토 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OLED 화소형성 기술

 

이번 기술은 삼성에서 굉장히 집중해서 보았을 것 같습니다. 인하대학교 연구진에서 발표한 포토리소그래피 OLED 화소형성 기술은 빛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듯이 회로 패턴을 제조하는 방법입니다. 이 기술을 왜 삼성에서 주목해서 봤을지 궁금하신 분은 밑에 있는 링크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 : 삼성 디스플레이

인하대학교 연구진에서 발표한 기술은 IT용 8세대 OLED 패널 산업에 중요한 포인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기판 위에 물질을 바르고 빛을 쏘아 원하는 형태로 물질을 깎는 방식입니다. 현재 더 정밀한 화소를 위해 서브픽셀을 어떻게 도포하고 가공하느냐에 세계 많은 기업에서 관심이 몰린 상태로, 삼성은 이 기술 개발 및 선두화를 위해 4조억의 투자를 결정하기도 했습니다.

 

만약 이 기술을 삼성과 정식으로 개발하게 된다면, 보다 높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국내 일자리도 많이 생성되는 효과를 가져올 것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mdnetwoks

 

끝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제 한국도 다양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늘 기술력이 있었던 것 같은데 무슨 소리냐?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그동안의 기술력은 완벽하지 않았습니다. 미국에서 해당 기술을 구매하여 사용하거나, 일본에서 기술에 필요한 부품들을 대부분 구입하여 사용했었죠.

 

돌려서 얘기했지만 결국 제품을 생산하는 삼성이나 LG 외에는 부품과 관련된 사업이 성장이 낮았다는 말입니다. 신기술 개발을 위해 투자를 할 수도 없었고, 그걸 중요하게 여기지도 않았던 시대가 있었는데 이제는 이렇게 다양한 기업들이 연구 성과를 보임으로써 더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이게 된 것입니다. 그야말로 엄청난 발전이라고 볼 수 있겠죠.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성과를 통해 더 발전하는 미래를 꿈꿀 수 있게 될 수 있길 바래봅니다.

 

TV와 관련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면?

 

티비를 사랑하는 모임 (티사모) : 네이버 카페

안드로이드TV 가이드, 중소기업TV 선택, TV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공유, 안드로이드TV 앱 리뷰 및 TV 리뷰

cafe.naver.com